728x90
백준 기본 문제를 풀다가 쓰는
각 자릿수 더하는 방법에 대한 기록이다.
4673번: 셀프 넘버
셀프 넘버는 1949년 인도 수학자 D.R. Kaprekar가 이름 붙였다. 양의 정수 n에 대해서 d(n)을 n과 n의 각 자리수를 더하는 함수라고 정의하자. 예를 들어, d(75) = 75+7+5 = 87이다. 양의 정수 n이 주어졌을 때,
www.acmicpc.net
문제는 위의 문제이다.
셀프 넘버를 구하는 데에 포인트는 각 자릿수를 더하는 것이다.
처음에는 10으로 나눠가며 더했지만, 비효율적인 것 같아 다른 방법을 고안해봤다.
바로 map 함수를 이용해 list로 바꿨다가 다 합하는 방법이다.
num=123
numSum=sum(map(int,str(num)))
이에 더해 map 함수에 대해 더 알아봤다.
map()
map(func,iterable)
map 메서드는 iterable 한 자료형을 받아서
각 원소들을 func에 인자로 전달하고 그 반환 값을 다시 넣어주는 역할을 한다.
[Python] Python iter, enumerate 함수
백준 기본 문제들을 풀면서 iter와 enumerate에 대해 알게 되어 기록을 남기려고 한다. 개요 파이썬을 공부하면서 iterable한 자료형의 활용성이 너무 좋다는 것을 계속해서 체감하게 된다. 때문에 이
choi-records.tistory.com
728x90
'Algorithm&Data Structur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lgorithm] 탐색 알고리즘 DFS/BFS (0) | 2022.12.11 |
---|---|
[Data Structure] 그래프의 구성, 종류, 표현 (Graph) (0) | 2022.12.11 |
[Data Structure] 색인과 이진 검색 트리(구현, 순회) (0) | 2022.12.11 |
[Data Structure] Hash Table (0) | 2022.12.10 |
[Algorithm] 정렬 방법, 구현(선택, 버블, 삽입, 병렬, 퀵, 계수) (0) | 2022.11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