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ransportLayer Network 2022. 12. 2. [Network] TCP(TCP 설명, 혼잡 제어) TCP 전체적인 설명, 헤더 분석, 혼잡 제어에 대한 기록이다. 개요 TCP에서 Control은 크게 3가지가 있다. 1.Flow control 2.Error control 3.Congestion control 전체적인 TCP의 구조는 위의 3 Control에 기반해서 그려보면 좋을 것 같다. TCP의 특징 1. 신뢰성 있는 스트림 전송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. 2. p-Ack 재전송 기법 사용 p-Ack 재전송 기법 -수신 측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면 'Ack'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기법 -전송 측에서는 'Ack' 메시지를 받기 전까지 전송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다. (오류에 대비) 3. 송신 측과 수신 측은 버퍼를 가진다. 버퍼 -송신측 : 에러가 발생할 수 있으니 버퍼에 저장해놓음 -수신측 : 단편.. Network 2022. 12. 2. [Network] UDP UDP에 대한 전체적인 설명, 패킷 분석에 대한 기록이다. UDP의 특징 비연결형 서비스이다. 초기 연결, 연결 해제 과정이 없다. 신뢰성 없는 전송 프로토콜이다. 오류 발견 시 폐기된다. 오류 복구 메커니즘이 없다. 프로세스 - 프로세스 통신 클라이언트/서버 방식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. 이전 기록에서 말했듯 수신자와 송신자의 IP 주소, 포트 번호가 필요하다. [Network] Transport Layer Transport Layer의 전체적인 구조와 동작 방식에 대한 기록이다. Socket socket은 Transport Protocol과 Application Layer의 프로세스 사이의 "문" 같은 역할을 한다. Socket은 Transport Layer의 두 프로토콜인 UDP와 TCP에 choi-.. Network 2022. 12. 2. [Network] Transport Layer Transport Layer의 전체적인 구조와 동작 방식에 대한 기록이다. Socket socket은 Transport Protocol과 Application Layer의 프로세스 사이의 "문" 같은 역할을 한다. Socket은 Transport Layer의 두 프로토콜인 UDP와 TCP에 대응한 각각의 타입을 가지고 있다. 한 host는 여러 개의 프로세스를 동작시킬 수 있다. 그렇다면, IP 주소 외에 프로세스를 구분할 ID가 필요하다. 프로세스가 메세지를 받는 방법 -위와 같은 이유로 프로세스는 IP주소와 포트번호를 ID로 가지고 있다. -프로세스가 메세지를 받고 보낼 때도 이 ID를 사용한다. UDP UDP에서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 데이터 교환 전 handshaking이 없다. HandShak.. 이전 1 다음